|
국제개발협력정책문서모음집 |
|
2012년 6월에 발간된 정책문서 모음집입니다. 파일 용량이 너무 크므로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kofid21@gmail.com으로 연락주세요. 감사합니다. |
|
|
글로벌 식량위기와 영양실조,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|
|
2012년 5월에 열린 '글로벌 식량위기와 영양실조,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-G20 정상회의에 즈음한 시민사회의 제안' 정책 포럼 자료집 입니다. |
|
|
OECD Peer Review 와 한국ODA 의 개선방안 |
|
2012년도 5월에 열렸던 정책토론회 자료집 입니다.
OECD Peer Review의 의의와 진행 상황의 검토, 시민사회의 의견에 대한 자료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 |
|
|
한국 대외원조, 통합으로가는 길! |
|
2012년 5월 18일에 열렸던 정책토론회의 자료집입니다.
파일 용량이 너무 크므로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kofid21@gmail.com로 연락주세요. 감사합니다. |
|
|
국제개발협력시민사회포럼 (KoFID) 정책토론회 자료집: 지속가능한 발전과 국제개발협력 |
|
리우+20, 지속가능발전목표(Sustainable Development Goals, SDGs), 개발을 위한 재원(Financing for Development, FfD)를 개발협력의 관점에서 논의한 정책토론회 자료집입니다. |
|
|
부산 세계시민사회포럼 백서 (Busan Global Civil Society Forum) |
|
2011년 11월에 발간된 BCSF 백서입니다. |
|
|
시민사회 개발효과성을 위한 씨엠립 국제 프레임워크 & 툴킷 |
|
이스탄불 원칙 이행을 위한 툴킷은 현장사업과 애드보커시 분야에서 국제 프레임워크를 효과적으로 이행하는 구체적인 지침과 전략을 담고 있습니다. 특히 Enabling environment의 조성을 위해 시민사회단체가 정부와 어떻게 협력할 수 있는지를 자세하게 안내하고 있습니다. |
|
|
국제개발협력시민사회포럼 정책토론회 자료집 |
|
2011년 3월에 발간된 정책토론회 자료집입니다. |
|
|
Post-2015 개발의제란 무엇인가 (2014.4) |
|
Beyond 2015 Korea 에서 2014년도에 발간한 Post-2015 개발의제에 대한 안내 책자 입니다. 한국 시민사회의 관점에서 MDGs를 평가하고 Post-2015 개발의제와 관련한 다양한 주체의 활동을 소개하고 주요 이슈와 향후 전망을 정리하였습니다. |
|
|
원조투명성 왜 중요한가? (2013.12) |
|
2013년 KoFID 원조투명성 기획단의 활동을 정리하며 원조투명성의 중요성과 국제 사례, 한국 ODA 정책에 대한 제안을 정리한 이슈브리프입니다. |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