|
action/2015 캠페인 설명회 자료집 |
|
2014년 6월 11일에 있었던 action/2015 캠페인 설명회 자료집입니다. action/2015 Asia Communiqué, 국문 소개자료, Draft Outline, Zero Draft for OWG-SDGs 12 등의 자료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 |
|
|
부산 글로벌 파트너십의 이행 점검을 위한 시민사회 정책포럼 |
|
3월 26일에 개최되었던 '부산 글로벌 파트너십의 이행 점검을 위한 시민사회 정책포럼' 자료집 입니다. |
|
|
제 2회 Post-2015 한국시민사회 정책포럼(2) |
|
제 2회 Post-2015 한국시민사회 정책포럼- 한국 ODA 정책과 부산 파트너십의 역할 중 Session II: Post-2015 개발의제와 부산파트너십의 연계- 한국정부와 시민사회의 역할 부분의 자료집 입니다. |
|
|
제 2회 Post-2015 한국시민사회 정책포럼(1) |
|
제 2회 Post-2015 한국시민사회 정책포럼- 한국 ODA 정책과 부산 파트너십의 역할 중 Session I: OECD DAC 가입 4주년간의 한국 ODA 정책 평가 부분의 자료집 입니다. |
|
|
제4회 서울시민사회포럼(SCSF) 자료집 |
|
'Post-2015 개발프레임워크에서의 효과적인 개발협력을 위한 포용적이고 공평한 파트너쉽'이라는 주제로 열린 포럼 자료집입니다. Post-2015와 부산글로벌파트너십에 관해 국제시민사회의 전문가를 초청해 논의하였습니다. |
|
|
한국 ODA 투명성, 이대로 좋은가 |
|
2013년 9월 원조투명성에 관해 논의한 토론회 자료집 입니다. 한국의 원조 투명성 정도를 점검하고 국외 사례를 통해 투명성 증진의 중요성과 IATI의 가입 필요성에 대해 의견을 나눴습니다. |
|
|
Post-2015 한국시민사회 정책포럼 Dialogue with UN-HLP |
|
2013년 7월에 열린 Post-2015 고위급패널(HLP) 관련 정책포럼입니다. HLP의 일원으로 참여한 전김성환 외교부장관과 함께 Post-2015 개발의제 수립 동향을 점검하고 시민사회의 의견을 전달하였습니다. |
|
|
한국 시민사회 개발효과성 열린포럼 자료집 |
|
2012년 9월에 열린 포럼 자료집 입니다. 새천년개발목표(MDGs)에 대한 평가 및 Post-2015 개발의제 대응 동향, 부산글로벌파트너십의 출범, Rio+20의 성과 등에 관한 자료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 |
|
|
The 3rd Civil Society Forum (SCSF): Effective implementation of Busan Partnership in Northeast Asia |
|
2012년에 개최된 제3회 서울시민사회포럼의 자료집 입니다. |
|
|
부산 세계개발원조총회 최종결과와 향후과제 |
|
2012년 8월에 열린 정책토론회의 자료집입니다.
부산총회 최종 결과에 대한 평가와 향후 과제, 한국시민사회의 역할과 전략에 관한 자료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 |
|